XpressEngine ver.2

글 수 1,141

등록 :2016-04-17 19:36

 

평화협정에 대한 찬반은 극과 극이다. 반대하는 쪽은 평화협정 때문에 미군이 철수하면 공산화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찬성하는 쪽은 미·북 평화협정이 현실적이고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1960~80년대에 북한이 제안한 평화협정은 그 조건과 당사자 면에서 남한이 받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평화협정의 조건과 당사자 문제에 대한 북한의 입장은 이전과 달랐다.

1961년 5월 남한에 군사정권이 들어서자 북한은 미군철수 조건부 남북평화협정을 제안했다. 1974년 3월에는 미·북 평화협정을 제안했다. 1970년대 초 미국이 북베트남과 직접 ‘파리 평화협정’ 문제를 풀어나가는 걸 보고 그랬을 것이다. 그 후 80년대 말까지 북한은 평화 문제는 미국, 통일 문제는 남한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1992년 1월21일 뉴욕에 간 김용순 국제비서는 아널드 캔터 미 국무차관에게 획기적인 제안을 했다.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지 않을 테니 우리와 수교해 달라. 통일 후에도 미군이 한반도에 주둔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80년대 말 90년대 초 동·서독 통일과 동유럽 공산주의체제 붕괴를 지켜보면서, 주한미군 주둔을 조건으로 하고서라도 미국으로부터 체제 유지를 보장받으려는 계산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국제정세가 달라졌고 흡수통일 공포도 사라진 뒤인 2000년에도 북한은 같은 입장이었다. 6·15 남북정상회담 후 10월25일 평양에 간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에게 김정일 위원장은 “탈냉전 후 미군은 한반도 정세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92년 1월 김용순 뉴욕 발언의 연장선상에서 미·북 수교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일성 주석 때인 1992년 주한미군 주둔을 조건으로 하는 미·북 수교 요구가 나온 뒤 2000년에 김정일 위원장도 계속 그 입장을 견지했다는 건 주목할 일이다. 이건 북한이 탈냉전 후 동북아 국제질서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갖게 됐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김정은 제1위원장도 그 입장인가 하는 것이다.

50년대 초 3년간 전쟁을 했던 미·북이 수교하려면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법적 절차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수교와 평화협정은 표리의 관계다. 작년 10월 리수용 북한 외무상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미·북 평화협정을 주장했다. 작년 말 미·북이 뉴욕 비밀접촉에서 평화협정 문제를 논의했다는 보도가 나온 뒤, 2월17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비핵화와 평화협정 일괄협상’을 제안했다. 그러자 북한은 3월22일 다시 미·북 평화협정을 주장했다.

그런데 평화협정은 정전협정을 대체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북만의 문제가 아니다. 평화협정 협상에는 정전협정 서명 당사자인 중국과 실질 당사자인 한국도 ‘10·4 남북정상선언’에 따라 당연히 참여해야 한다. 북한이 미·북 평화협정만 고집하면, 법리상, 평화협정과 미·북 수교 협의는 한발짝도 나갈 수 없다.

지난 4월7일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회의에 참가한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북한과의 불가침조약을 언급했다. 대북제재 국면에서 나온 이런 발언은 평화협정 협상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장차 중·미 협조로 ‘비핵화와 평화협정 일괄협상’이 전개될 가능성도 크다. 그렇다면 우리로서는 평화협정 협의 대책을 미리 마련해 놓아야 한다.

먼저 평화협정의 조건인 주한미군 주둔에 대해 북한이 지금도 90년대 이후 김일성-김정일 입장에 서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평화협정의 당사자 문제와 관련해서 북한이 ‘김정일 유훈’이기도 한 10·4 선언을 따를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10·4 선언 4항은 관련 3국 또는 4국이 한국전쟁의 공식 종료를 선언한다는 내용이다. 이건 정전협정 종료와 평화협정 협상에 남한이 당사자로 참여하기로 남북이 합의했다는 뜻이다.

정세현 평화협력원 이사장, 전 통일부 장관
정세현 평화협력원 이사장, 전 통일부 장관

만약 김정은 시대 북한이 90년대 이후 김일성-김정일 입장을 뒤집고 80년대 이전으로 돌아간다면, 그들이 원하는 평화협정은 협의 자체를 시작할 수 없다. 이게 오늘날 동북아 국제정치의 현실이다.
 

정세현 평화협력원 이사장, 전 통일부 장관


번호
제목
글쓴이
101 [교수학술단체 공동 성명서]
[관리자]
2012-03-09 13372
100 [한국전쟁전후민간인민간인희생자 전국유족회/재경유족회 과거사업무지원단방문] |우리들의 이야기
[관리자]
2014-01-28 13379
99 법원 60여년 만에 “국군의 양민학살, 국가가 손해배상하라” 판결 / 경향신문
[관리자]
2012-10-31 13395
98 프로이트 라캉 이론을 통해 서양 의복의 젠더 읽어 보기(4/23 개강, 강의 이명희)
다중지성의 정원
2015-04-18 13408
97 [바튼소리] '거창학살' 영화 <청야> 반갑다 / 경남도민일보
[관리자]
2013-04-05 13479
96 또한번 약속 믿어 보겠다.
정명호
2012-03-08 13491
95 래퍼 산이, 현 시국 풍자한 신곡 ‘나쁜 년(Bad Year)’ 화제
[관리자]
2016-11-24 13549
94 진격의 트랙터 “지금 박근혜 퍼내러 간다”
[관리자]
2016-11-24 13587
93 민족문제연구소 제4대 이사장(함세웅 신부) 취임식
[관리자]
2013-01-27 13598
92 새책! 『9월, 도쿄의 거리에서』― 1923년 9월 1일 간토대지진 직후 조선인 대학살에 대한 생생한 보고문학!
도서출판 갈무리
2015-09-03 13626
91 ‘하야 눈’이 내린 날, 160만 촛불이 켜졌다
[관리자]
2016-11-26 13627
90 "한국 과거청산의 비판적 성찰과 전망" : 역사학연구소 심포지움(2011.11.5) 안내 file
이선아
2011-10-31 13630
89 #1111 세월호 추모문자를 아시나요
[관리자]
2016-11-23 13641
88 재미 사학자 이도영 박사의 비보에 부치는 글 / 제주의 소리
[관리자]
2012-10-10 13705
87 <제1회 단재상 시상식>이 있습니다. 2012년 12월 6일(목)
채의진
2012-12-05 13826
86 창원유족회서 알려드립니다.
노치수
2011-10-25 13946
85 (초대) 동아넷 2011년 송년 역사정의 포럼
김현숙
2011-12-26 13953
84 8시 소등 뒤 울려퍼진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
[관리자]
2016-11-26 13965
83 법륜, "통일에 돈이 들지만 그것은 부담비용이 아니라 투자비용" / 경향신문
[관리자]
2012-11-03 14238
82 운동초심 44차 모임 초대!!
영야
2011-10-02 14397

자유게시판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