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 입력 2015.03.20 18:02 | 수정 2015.03.20 19:09

美 버클리대 동아시아 전문가 존 리 교수 주문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한국에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유족들에게 사과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정부가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고 실질적 보상책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존 리(56) 미국 U.C 버클리대 사회학과 교수는 세월호 참사 1년을 맞아 아직도 광화문을 떠나지 못하는 유족들의 슬픔과 분노를 달래주려면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가 필요하다고 20일 강조했다.

↑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진도=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304명의 희생자를 낸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되가지만 아직 9명의 실종자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진도 팽목항에는 남은 실종자들이 하루빨리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길 기원하며 실종자들의 이름과 얼굴이 담긴 플래카드가 곳곳에 휘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서 유례없는 피해를 냈던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사례를 들며 "카트리나는 자연재해였는데도 정부가 깊이 관여해 보상하고 사과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한국은 미국보다 정부의 사회적 영향력이 큰 나라임에도 적극적으로 참사 문제에 관여하지 않으려 하는 것 같았다. 조금 더 가까운(closer) 사과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리 교수는 미국의 대표적인 동아시아 전문가로 두 살 때 우리나라를 떠나 일본과 미국 하와이에서 자랐다. 그는 한국과 동아시아 연구에 천착해왔으며, 최근에는 K팝과 한류 현상에까지 관심 영역을 넓힌 지한파다.

그는 이날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국제관에서 '한국사회의 위험과 사회과학의 역할'을 주제로 열린 학술대회에서 '사회과학의 위기와 대전환'이라는 기조 강연을 맡았다.

리 교수는 그 누구도 미래를 내다볼 수는 없다는 점을 전제로 위험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실재'하는 위험 사이에 늘 간극이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우리가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다가오는 위험과는 차이가 있다"며 "유교 사상을 토대로 하는 한국은 노인을 공경하는 문화가 있다고는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노인 빈곤율이 OECD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 그 한 가지 예다. 과거에는 노인 문제가 '문제'가 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짚었다.

리 교수는 다음 달에 1주기를 맞는 세월호 참사는 최근 한국인의 위험 관련 인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이는 참사로 인해 갑작스레 일어난 것이라기보다는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통해 성숙기에 접어든 사회였기에 가능한 변화라고 봤다.

그는 "한국은 1980년대 후반 산업 재해 사망률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았지만, 사람들은 이를 알고도 그리 위험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며 "마찬가지로 세월호 참사가 1970년대나 1980년대에 일어났으면 지금처럼 큰 파장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의 한국 사회가 민주화를 달성한 선진적인 사회이기 때문에 '규제가 더 꼼꼼했다면', '선장이 더 잘 훈련됐었다면', '해경이 더 잘 구조했다면' 같은 진지한 문제 제기와 토론이 이뤄지는 것"이라며 "한국 사회의 인식 변화는 이미 일어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tsl@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