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다랑쉬굴 학살사건은 1948년 12월 18일(음) 제9연대 및 경찰, 민보단 등 군·경·민합동토벌대가 종달리, 하도리 주민 22명 이상을 구좌읍 세화리 다랑쉬굴에서 학살한 사건이다.

사건배경
4·3항쟁 당시 다랑쉬 오름은 구좌면 유격대의 전락적 요충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48년 겨울, 소개령이 내려짐에 따라 군경토벌대들이 마을이 온통 불바다가 되었다.
다랑쉬굴은 천연용암동굴이었다.
미군정은 1948년 5·10선거가 실패로 끝나자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실행하였는데 5월부터 진행된 1차에 이어 8월 이후부터 2차 대토벌작전을 계속하였다. 10월에 들어서면서부터 ‘중간산 지역을 완전히 불살라 없애고 마을주민들을 집단학살하는 초토화작전’을 전개한다. 이에 공포를 느낀 주민들은 살아남기 위해 일가족 단위로 야산이나 동굴로 피난하였다.

사건내용
1948년 11월 18일을 전후하여 김진생씨 일가, 고순경씨 형제, 박순녀 씨 가족, 이홍규씨 가족 등 대부분 부부와 어린아이가 딸린 가족단위로 다랑쉬굴 근처로 피난하였다.
다랑쉬 굴속에 있었던  고태원, 강태용, 고순경, 고두만, 함명립, 박봉관 등은 종달리 출신으로 한 마을 친구이자 형제들이었으며 이들은 4·3항쟁 후 만들어진 우익청년단인 대한청년단원들이었다.
이들의 입산계기는 대한청년단 내부갈등이었으며 11월 18일 종달리에서 김호준과 채정옥이 무장대에 의해 납치되자 그 책임이 자신들에게 덮어 씌워지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 다랑쉬굴로 피신하였다.
제9연대 및 경찰, 민보단 등 군·경·민합동토벌대가 합동토벌작전 중 다랑쉬굴의 피난민들을 발견하고 굴에 총을 쏘고 불을 질러 질식사 시켰다.

사건 이후
1991년 12월 22일 다랑쉬굴 최초 발견
12월 24일 유골 확인
1992년 3월 22일 제주 4·3연구소 공식 확인과 대책마련
1992년 4월 1일 전문가, 제주 4·3연구소, 언론취재단이 공동으로 합동조사반 구성
5월 15일 유해 화장

주요 증언 및 입증자료
○ 오지봉(종달리, 민보단간부로 토벌작전에 참여)
“군경민 합동토벌대가 빗질하듯 다랑쉬오름을 포위하며 수색하였다가 굴을 발견했다. 굴밖에 있던 사람들은 사살됐고, 굴 입구가 양쪽에 두 개였는데, 나오라! 나오라! 소리쳤는데 나오지도 않고 그래서, 토벌대가 처음에는 입구에 수류탄을 던졌다. 그래도 사람들이 나오지 않자, ‘검불’로 불을 피운후 구멍을 막아 질식사하게 하였다.”

○ 채정옥(유골수습)
“사건이 나던 날은 12월 18일로 생생히 기억이 나요. 나도 다랑쉬굴에 같이 있었어요. 토벌당시 나는 굴 안에서 나와 있었는데, 구좌면 면당부에서 토벌대에 의해 다랑쉬굴이 습격당했다며 면포를 주면서 시신을 잘 정돈하고 오라고 했지. 하도리 출신 오치악과 고완규 등과 함께 갔는데, 밤에 와서 보니 우리마을 강태용씨가 죽어 있고, 나머지는 질식사해 있었어. 입구에는 불을 피웠던 흔적들이 쌓여 있었고, 굴안은 그때까지 연기로 가득했는데 ...... 우리는 시체를 수습했는데, 남쪽에는 하도 사람들을 일렬로 눕히고, 우리 종달리 사람들은 북쪽에 차례로 눕혔는데, 10~13명은 됐어.”

○ 미24군단 정보보고서(1948. 12. 24)
“제주를 떠난 제9연대 2대대는 제주도에서의 마지막 군사작전에서 민간인과 경찰의 도움을 받아 12월 18일, 130명을 사살하고 50명을 체포했으며, 소총 1정, 칼 40자루, 창 32자루를 노획했다.”

규명과제
비무장 민간 피난민에 대한 무차별 학살을 초래한 군사작전의 지휘는 누가 했는가?

참고문헌
『다랑쉬굴의 슬픈노래』(사진 김기삼 글 김동만, 삭,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