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pressEngine ver.2

글 수 444
[관리자]
2015.05.09 01:07:04 (*.70.29.157)
3115
  등록 :2015-05-08 19:34

 

[토요판] 정희진의 어떤 메모

<잊지 않겠습니다>, 4·16가족협의회·김기성·김일우 엮음
박재동 그림, 한겨레출판, 2015
모든 가족이 화목한 것은 아니다. 사고무친으로 태어난 이들도 있다. 가정의 달, 민망한 이름이다. 우리 집도 스위트 홈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엄마와 나는 특별했다. 내 인생은 엄마의 죽음 전후로 나뉜다. 삶의 엔진이었던 엄마가 사라지면서 동시에 내 숨도 멈췄다. 살아갈 이유와 방향이 없다. 잃을 것도, 원하는 것도 없다. 바라는 것은 단 하나, 엄마를 만나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사람과의 영원한 이별. 비교 가능한 죽음은 아니지만 나는 세월호 유가족과 동일시하며 살았다. 그래서 가장 불편하고 이상한 말이 “잊지 않겠습니다”이다. 내 삶에 재건 가능성은 없다. 폭삭 주저앉았다. 불치병으로 엄마를 잃은 내가 이럴진대, 살릴 수 있었던 자식을 바다에 보낸 유가족들은 어떻겠는가. 매일매일 생각나는 아이들 그러나 다시 볼 수 없는 그 아이의 부재가, 어떻게 잊고 안 잊고의 문제겠는가.

<잊지 않겠습니다>는 <한겨레>에 작년 6월15일부터 세월호 추모 기획으로 연재된 학생들의 얼굴 그림과 가족들의 편지를 모은 책이다. 독자들은 매일 아침 그들과 마주했다. 한국 언론 역사에 지속적으로 거론될 만한 일이다. 글을 쓴 유가족들은 물론 박재동 화백과 김기성·김일우 기자에게 경의를 표한다. 나는 끝까지 읽은 글이 거의 없다. 그러나 그들은 고통과 마주하는 초인적 인격을 발휘했고 책이 나왔다.

사실, 잊지 말아야 할 유일한 주체는 국가밖에 없다. 그들만 안 잊으면 된다. “잊지 않겠습니다”는 공무원이 월급 받고 하는 업무다. 재발 방지, 유가족 위로, 진실 규명… 국가가, 대통령이, 있는 나라인지 모르겠지만 그들의 정치는 당연한 행정까지 마비시켰다.

“잊지 않겠다”는 선의의 언어지만 엉뚱한 곳을 떠돌고 있다. 유가족이 아닌 사람의 입장이다. “이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앞이 깜깜해지는 이 길을 어떻게 걸어 나가야 할지…”(314쪽) 김동현군 어머니의 심정은 유가족의 보편적인 상황일 것이다. 현실과 현실부정, 그리움 사이에서 몸부림칠지언정 “잊지 않겠다”는 다짐은 가능하지 않다. 반대로, 당사자가 아닌 사람은 다짐을 거듭해야만 잊지 않을 수 있다. 그것도 보장된 일은 아니다. 이미 다른 처지. “당신 아이는 살아 있잖아요”, “아이(시신)를 찾았잖아요.” 언어의 가장 큰 특징은 의미의 배타성이다. 각자의 인생이 다르기 때문이다. 더구나 죽음 앞에서 무슨 합의가 가능하겠는가. 말마저 외로워진다.

‘잊지 않겠습니다’는 원래부터 문제적인 언설이다. 일단, 잊지 말아야 할 일들이 너무 많다. 1993년 전북 부안군 서해 훼리호 침몰 사고(292명 사망), 1995년 서울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502명 사망),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192명 사망).(14쪽) 내가 어렸을 적 이리(익산)역 폭발 사고도 기억난다. 그 누구도 다 기억하고 살 수는 없다.

예상치 못한 심각한 문제가 또 있다. 사건 이후 몇 개월간 나는 계속 세월호에 대해 썼는데, 어느 날 독자 편지를 받았다. “불공평하다, 왜 세월호만 기억하냐”는 것이다. 자신은 중증 장애 아동을 키우는데 그런 부모의 고통을 생각해 본 적이 있냐고 ‘항의’했다. 고통을 비교하는 대신 연대하자는 하나 마나 한 답장을 보냈지만 나는 깨달았다. “잊지 말자”는 일상이 고통인 이들에겐 해당되지 않는, 배제의 말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이제 시간이 계속 흐를 것이다(428쪽, 박재동)”, “잊힐 것이다(430쪽, 김기성·김일우)”. “잊지 않겠습니다”보다 “잊힐 것이다”가 더 윤리적이다. 망각해서는 안 된다는 강박과 망각의 필연 사이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 피로 운운하는 여론이 고개를 들 것이다. 이 책이 소중한 이유는 잊힐 것이라는 자각, 4·16이 이제부터 시작임을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보편적인 말은 없다. 어떤 이에게 착한 말이 어떤 이들에겐 비현실적이다. “잊지 않겠다”는 고통 외부의 시각이다. 기억해‘준다’가 아니라 당사자의 언어를 찾아야 한다. 예컨대, 슬픔이 일상의 일부라면 기억 투쟁은 필요하지 않다. 상실과 상실감은 인간성이다.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번호
제목
글쓴이
304 세월호 황지현양 발인…어머니, 딸 교실 의자에서 하염없이 눈물
[관리자]
2014-11-03 4009
303 4월19일, 국민보도연맹 관련 다큐멘터리 <레드 툼> 초대 안내
[관리자]
2014-04-05 3959
302 제주4.3추념일, 국가기념일 공식 지정 / 노컷뉴스
[관리자]
2014-01-16 3951
301 獨 가우크 대통령, 2년만에 또다시 체코 찾아 나치 학살에 참회 /뉴시스
[관리자]
2014-05-09 3945
300 [사설] ‘역사전쟁’ 획책하는 집권세력 / 한겨레
[관리자]
2016-08-26 3929
299 테러범을 키운 것은 프랑스 자신이다
[관리자]
2015-01-21 3904
298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교수 기자회견···유시민 등도 ‘형사기소 반대’ 성명
[관리자]
2015-12-02 3887
297 통곡의 바다, 절망의 대한민국 /박명림 교수
[관리자]
2014-04-24 3869
296 "교수님에게 부치는 편지"
[관리자]
2014-06-10 3844
295 아이들은 너희가 지난해 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관리자]
2015-12-17 3831
294 “세월호 참사, 민중의 죽음은 사회적 학살” / 미디어 충청
[관리자]
2014-05-02 3828
293 불타는 감자
[관리자]
2015-04-13 3826
292 민간인학살 희생자 목숨 값 깎는 대법원 / 오마이뉴스
[관리자]
2014-06-12 3826
291 "'임을 위한 행진곡' 안 부르면 5.18 기념식 불참" /노컷뉴스
[관리자]
2014-05-08 3823
290 숨진 단원고 학생 다룬 ‘잊지 않겠습니다’ 영문으로 & 박래군 대담
[관리자]
2014-08-12 3808
289 오바마 목덜미 잡고 흔드는 유대인 파워
[관리자]
2014-08-06 3802
288 ‘한국의 마타하리’로 불린 여인, 현앨리스의 비극적 가족사
[관리자]
2015-03-20 3767
287 김영란법 9개월째 방치 / 중앙일보
[관리자]
2014-05-20 3755
286 "세월호 가족 요구 짓밟은 여야 합의 반대한다" / 오마이뉴스
[관리자]
2014-08-08 3754
285 대법원도 끝내 외면 "제주4.3 유족에 비수" /제주의소리
[관리자]
2014-06-12 3745

알림



XE Login